반응형

동사는 문장에서 주어의 동작이나 상태를 설명하는 매우 중요한 품사입니다.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 생각, 감정, 존재 등을 나타내죠. 동사를 정확히 이해해야 문장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고, 또 정확한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목차에 따라 동사의 종류, 시제, 태에 대한 기본 개념을 알아보겠습니다.

1. 동사의 종류 (Types of Verbs)

동사는 크게 의미와 기능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자동사 (Intransitive Verbs): 목적어가 필요 없는 동사입니다. 즉, 주어의 동작이 주어 자신에게만 영향을 미치고 끝나는 경우입니다. "주어 + 자동사" 형태로 완전한 문장을 이룰 수 있습니다.
    • 예시: Birds sing. (새들이 노래한다.) - '노래한다'는 동작은 새들에게만 해당하고, 다른 대상이 필요 없어요.
    • 예시: He runs every morning. (그는 매일 아침 달린다.) - '달린다'는 동작도 그 자신에게만 해당합니다.
    • 예시: The sun rises in the east. (해는 동쪽에서 뜬다.)
    • 예시: She laughed. (그녀가 웃었다.)
    • 예시: I arrived late. (나는 늦게 도착했다.)
  • 타동사 (Transitive Verbs):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입니다. 즉, 주어의 동작이 다른 대상(목적어)에게 영향을 미치는 경우입니다. "주어 + 타동사 + 목적어" 형태로 문장을 이룹니다.
    • 예시: I love you. (나는 너를 사랑한다.) - '사랑한다'는 동작의 대상은 '너'입니다.
    • 예시: She ate an apple. (그녀는 사과를 먹었다.) - '먹었다'는 동작의 대상은 '사과'입니다.
    • 예시: He reads a book. (그는 책을 읽는다.)
    • 예시: They built a house. (그들은 집을 지었다.)
    • 예시: Can you pass me the salt? (저에게 소금 좀 건네주시겠어요?) - 여기서는 간접목적어(me)와 직접목적어(the salt) 두 개를 가지는 타동사(수여동사)입니다.
    참고: 어떤 동사는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도 쓰일 수 있습니다. 문맥에 따라 의미가 달라집니다.
    • 예시 (자동사): The door opened. (문이 열렸다.)
    • 예시 (타동사): He opened the door. (그가 문을 열었다.)
    • 예시 (자동사): The children are playing. (아이들이 놀고 있다.)
    • 예시 (타동사): The children are playing soccer. (아이들이 축구를 하고 있다.)
  • 보조동사 (Auxiliary Verbs): 다른 동사(본동사)와 함께 쓰여 시제, 태, 법 등을 나타내는 데 도움을 주는 동사입니다. 대표적으로 be, do, have 동사가 있습니다.
    • Be 동사: 진행형 시제나 수동태를 만들 때 사용됩니다.
      • 예시 (진행형): She is studying English. (그녀는 영어를 공부하고 있다.) - is가 studying을 도와 현재 진행형을 만듭니다.
      • 예시 (수동태): The window was broken. (창문이 깨졌다.) - was가 broken을 도와 수동태를 만듭니다.
      • 예시 (일반동사로서의 be): I am a student. (나는 학생이다.) - 이 경우 be동사는 '~이다, ~있다'의 의미를 가진 본동사입니다.
    • Do 동사: 일반동사의 의문문, 부정문, 또는 강조를 만들 때 사용됩니다.
      • 예시 (의문문): Do you like pizza? (피자 좋아하세요?) - Do가 like를 도와 의문문을 만듭니다.
      • 예시 (부정문): I do not (don't) know the answer. (나는 답을 모른다.) - do가 know를 도와 부정문을 만듭니다.
      • 예시 (강조): I do love this song! (나는 이 노래를 정말 좋아해!) - do가 love를 강조합니다.
      • 예시 (일반동사로서의 do): I do my homework every day. (나는 매일 숙제를 한다.) - 이 경우 do는 '~을 하다'의 의미를 가진 본동사입니다.
    • Have 동사: 완료 시제를 만들 때 사용됩니다.
      • 예시 (현재완료): I have finished my work. (나는 내 일을 끝냈다.) - have가 finished를 도와 현재완료 시제를 만듭니다.
      • 예시 (과거완료): She had already left when I arrived. (내가 도착했을 때 그녀는 이미 떠났었다.) - had가 left를 도와 과거완료 시제를 만듭니다.
      • 예시 (일반동사로서의 have): I have a car. (나는 차를 가지고 있다.) - 이 경우 have는 '가지다'의 의미를 가진 본동사입니다.
  • 법조동사 (Modal Verbs): 본동사 앞에 쓰여 능력, 허가, 의무, 추측, 가능성 등 특별한 의미를 더해주는 동사입니다. 법조동사 뒤에는 항상 동사원형이 옵니다. 대표적인 법조동사에는 can, may, must, will, shall, could, might, should, would 등이 있습니다.
    • 예시 (능력): I can swim. (나는 수영할 수 있다.)
    • 예시 (허가): May I come in? (들어가도 될까요?)
    • 예시 (의무): You must finish your homework. (너는 숙제를 끝내야 한다.)
    • 예시 (미래/의지): I will help you. (내가 너를 도와줄게.)
    • 예시 (제안): Shall we dance? (우리 춤출까요?)
    • 예시 (추측): It might rain tomorrow. (내일 비가 올지도 모른다.)
    • 예시 (충고): You should see a doctor. (너는 진찰을 받아보는 게 좋겠다.)

동사의 종류별 구조적 특징

 

반응형

2. 시제 (Tenses) - 기본 개념 소개

시제는 동사의 형태를 변화시켜 동작이나 상태가 일어나는 시간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영어의 기본 시제는 현재, 과거, 미래입니다. 여기서는 기본 개념만 간단히 소개하고, 3강 "동사의 심층 이해"에서 더 자세히 다루게 됩니다.

  • 현재 시제 (Present Tense): 현재의 사실, 습관적인 행동, 일반적인 진리 등을 나타냅니다.
    • 예시: The earth is round. (지구는 둥글다.) - 일반적인 진리
    • 예시: I go to school every day. (나는 매일 학교에 간다.) - 습관적인 행동
    • 예시: She plays the piano well. (그녀는 피아노를 잘 친다.) - 현재의 능력/사실
  • 과거 시제 (Past Tense): 과거에 이미 일어난 일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동사에 '-ed'를 붙이거나 불규칙 변화형을 사용합니다.
    • 예시: I watched a movie yesterday. (나는 어제 영화를 봤다.)
    • 예시: He lived in London last year. (그는 작년에 런던에 살았다.)
    • 예시: They ate dinner at 7 PM. (그들은 저녁 7시에 저녁을 먹었다.) - eat의 과거형 ate (불규칙)
  • 미래 시제 (Future Tense): 미래에 일어날 일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주로 'will + 동사원형' 또는 'be going to + 동사원형'을 사용합니다.
    • 예시: I will call you tomorrow. (내일 전화할게.)
    • 예시: She is going to visit her grandparents next weekend. (그녀는 다음 주말에 조부모님을 방문할 예정이다.)

3. 태 (Voice) - 능동태, 수동태 기본 개념 소개

태는 주어가 동작을 직접 행하는지(능동태) 아니면 동작을 당하는지(수동태)를 나타내는 동사의 형태입니다. 이 또한 3강에서 더 자세히 다룹니다.

  • 능동태 (Active Voice): 주어가 동작의 주체가 되는 형태입니다.
    • 예시: The cat chased the mouse. (고양이가 쥐를 쫓았다.) - 주어 'The cat'이 'chased(쫓다)'라는 동작을 직접 함.
    • 예시: Jenny wrote a letter. (제니가 편지를 썼다.) - 주어 'Jenny'가 'wrote(썼다)'라는 동작을 직접 함.
  • 수동태 (Passive Voice): 주어가 동작의 대상이 되어 동작을 받거나 당하는 형태입니다. 주로 'be 동사 + 과거분사(p.p.) (+ by + 행위자)' 형태로 쓰입니다.
    • 예시: The mouse was chased by the cat. (쥐가 고양이에 의해 쫓겼다.) - 주어 'The mouse'가 'chased(쫓기다)'라는 동작을 당함.
    • 예시: A letter was written by Jenny. (편지가 제니에 의해 쓰였다.) - 주어 'A letter'가 'written(쓰이다)'라는 동작을 당함.

여기까지가 '문법의 기초 - 품사 - 동사' 파트의 주요 내용입니다. 동사는 영어 문장에서 정말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오늘 배운 기본 개념들을 잘 기억해두시면 앞으로의 영어 공부에 큰 도움이 될 거예요.

 

다음강의로~~

2025.05.19 - [영어/문법] - [영어 스터디] 문법의기초 : 형용사 (Adjectives)

 

[영어 스터디] 문법의기초 : 형용사 (Adjectives)

형용사는 명사나 대명사를 수식(꾸며주거나 설명)하여 그 의미를 더 자세하게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어떤", "무슨" 등의 질문에 답하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1. 형용사의 역할과 위

sucksa-himdleall.tistory.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