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 평서문이란 무엇인가? 생각과 사실을 전달하는 기본 문장!

평서문(Declarative Sentence)은 문장의 가장 기본적이고 일반적인 형태로, 어떤 사실을 있는 그대로 진술하거나, 생각, 의견, 감정 등을 평이하게 서술하는 문장을 말합니다. 특별한 감탄이나 질문, 명령의 의도를 담지 않고,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거나 상황을 묘사하는 데 사용됩니다. 영어 문장의 대부분은 평서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글을 쓰거나 대화를 할 때 가장 빈번하게 활용됩니다.

평서문 기능

평서문은 일반적으로 주어(Subject)로 시작하여 동사(Verb)가 그 뒤를 따르는 구조를 가지며, 문장의 끝에는 마침표(.)를 찍어 문장이 끝났음을 나타냅니다. 평서문은 긍정의 내용을 담을 수도 있고, 부정의 내용을 담을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The sun rises in the east." (해는 동쪽에서 뜬다.)라는 문장은 해가 동쪽에서 뜬다는 객관적인 사실을 진술하는 평서문입니다. 또한, "I like coffee." (나는 커피를 좋아한다.)라는 문장은 커피를 좋아한다는 개인적인 생각을 표현하는 평서문입니다.

평서문의 핵심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실 전달: 객관적인 정보나 사실을 알립니다. (예: Seoul is the capital of Korea.)
  • 의견/생각 표현: 주관적인 판단이나 견해를 나타냅니다. (예: I think this book is interesting.)
  • 상황/상태 묘사: 특정 상황이나 주어의 상태를 설명합니다. (예: The weather is very cold today.)
  • 경험 서술: 과거에 겪었던 일이나 경험을 이야기합니다. (예: I traveled to Europe last year.)

이처럼 평서문은 의사소통의 기본 도구로서, 명확하고 간결하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합니다.

 

II. 평서문의 기본 구조 및 문장 형식

평서문은 기본적으로 주어 + 동사 (+ 다른 문장 요소) 의 어순을 따릅니다. 문장의 핵심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의 성격에 따라, 그리고 동사가 필요로 하는 다른 문장 요소(목적어, 보어 등)의 유무에 따라 평서문은 다양한 문장 형식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영어의 주요 5형식 모두 평서문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평서문 기본 패턴

1. 1형식 평서문 (주어 + 동사)

주어와 (완전) 자동사만으로 완전한 의미를 전달하는 문장입니다. 동사 뒤에 부사(구)가 와서 의미를 보충할 수 있지만, 이는 문장의 필수 성분은 아닙니다.

  • 예: Birds sing. (새들이 노래한다.)
  • 예: The sun rises in the east. (해는 동쪽에서 뜬다.) (in the east는 부사구)
  • 예: He works very hard. (그는 매우 열심히 일한다.) (very hard는 부사구)
  • 예: Time flies. (시간은 빠르게 흐른다.)
  • 예: She smiled brightly. (그녀는 밝게 미소 지었다.) (brightly는 부사)
  • 예: Accidents happen. (사고는 발생한다.)
  • 예: The baby is sleeping peacefully. (아기가 평화롭게 자고 있다.) (peacefully는 부사)

 

 

2. 2형식 평서문 (주어 + 동사 + 주격보어)

주어, (불완전) 자동사, 그리고 주어를 보충 설명하는 주격보어(Subject Complement)로 이루어진 문장입니다. 주격보어는 주어의 정체, 상태, 성질 등을 나타내며, 명사(구/절)나 형용사(구)가 주로 사용됩니다. "주어 = 주격보어" 또는 "주어가 ~한 상태이다"의 관계가 성립합니다.

  • 예: She is a doctor. (그녀는 의사이다.) (주격보어: a doctor - 명사)
  • 예: He became a famous singer. (그는 유명한 가수가 되었다.) (주격보어: a famous singer - 명사구)
  • 예: The weather seems pleasant today. (오늘 날씨가 쾌적해 보인다.) (주격보어: pleasant - 형용사)
  • 예: This soup tastes delicious. (이 수프는 맛있다.) (주격보어: delicious - 형용사)
  • 예: My dream is to travel around the world. (나의 꿈은 세계 일주를 하는 것이다.) (주격보어: to travel around the world - to부정사구)
  • 예: The problem is that we don't have enough time. (문제는 우리가 충분한 시간이 없다는 것이다.) (주격보어: that we don't have enough time - 명사절)
  • 예: The leaves turned red and yellow. (나뭇잎들이 빨갛고 노랗게 변했다.) (주격보어: red and yellow - 형용사)

 

3. 3형식 평서문 (주어 + 동사 + 목적어)

주어, (완전) 타동사, 그리고 동사의 행위가 직접 미치는 대상인 목적어(Object)로 이루어진 문장입니다. 목적어는 "~을/를"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예: I love music. (나는 음악을 사랑한다.) (목적어: music)
  • 예: She wrote a long letter to her friend. (그녀는 친구에게 긴 편지를 썼다.) (목적어: a long letter)
  • 예: He enjoys playing soccer with his friends. (그는 친구들과 축구하는 것을 즐긴다.) (목적어: playing soccer - 동명사구)
  • 예: We need more information about the project. (우리는 그 프로젝트에 대한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다.) (목적어: more information)
  • 예: They decided to postpone the meeting. (그들은 회의를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목적어: to postpone the meeting - to부정사구)
  • 예: I know what you mean. (나는 네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안다.) (목적어: what you mean - 명사절)
  • 예: The company launched a new product last month. (그 회사는 지난달에 신제품을 출시했다.) (목적어: a new product)

 

4. 4형식 평서문 (주어 + 동사 + 간접목적어 + 직접목적어)

주어, 수여동사(주다류 동사), 간접목적어(Indirect Object), 그리고 직접목적어(Direct Object)로 이루어진 문장입니다. 간접목적어는 "~에게"로 해석되며 행위의 대상을 받고, 직접목적어는 "~을/를"로 해석되며 행위의 내용을 나타냅니다. 즉, "누구에게 무엇을 해주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 예: He gave her a beautiful flower. (그는 그녀에게 아름다운 꽃을 주었다.) (간접목적어: her, 직접목적어: a beautiful flower)
  • 예: My mother made me a delicious cake. (어머니는 나에게 맛있는 케이크를 만들어 주셨다.) (간접목적어: me, 직접목적어: a delicious cake)
  • 예: Can you show me the way to the station? (나에게 역으로 가는 길을 알려줄 수 있나요?) (간접목적어: me, 직접목적어: the way)
  • 예: She told us an interesting story. (그녀는 우리에게 재미있는 이야기를 해주었다.) (간접목적어: us, 직접목적어: an interesting story)
  • 예: I bought my brother a new game. (나는 남동생에게 새 게임을 사주었다.) (간접목적어: my brother, 직접목적어: a new game)
  • 예: The teacher asked students many questions. (선생님은 학생들에게 많은 질문을 했다.) (간접목적어: students, 직접목적어: many questions)
  • 참고: 4형식 문장은 전치사(to, for, of 등)를 사용하여 3형식 문장으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예: He gave a beautiful flower to her.)

 

5. 5형식 평서문 (주어 + 동사 + 목적어 + 목적격보어)

주어, (불완전) 타동사, 목적어, 그리고 목적어를 보충 설명하는 목적격보어(Object Complement)로 이루어진 문장입니다. 목적격보어는 목적어의 상태, 정체, 행위 등을 나타내며, "목적어 = 목적격보어" 또는 "목적어가 ~하도록/되도록 하다"의 관계가 성립합니다. 목적격보어로는 명사(구), 형용사(구), to부정사, 동사원형, 분사 등이 올 수 있습니다.

  • 예: They named their son Tom. (그들은 그들의 아들을 탐이라고 이름 지었다.) (목적격보어: Tom - 명사)
  • 예: The news made me happy. (그 소식은 나를 행복하게 만들었다.) (목적격보어: happy - 형용사)
  • 예: I want you to study hard. (나는 네가 열심히 공부하기를 원한다.) (목적격보어: to study hard - to부정사)
  • 예: She saw him cross the street. (그녀는 그가 길을 건너는 것을 보았다.) (목적격보어: cross the street - 동사원형구, 지각동사)
  • 예: My mom made me clean my room. (엄마는 내가 내 방을 청소하게 시키셨다.) (목적격보어: clean my room - 동사원형구, 사역동사)
  • 예: I found the book very interesting. (나는 그 책이 매우 흥미롭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목적격보어: very interesting - 형용사구)
  • 예: He kept the window open. (그는 창문을 열어둔 채로 유지했다.) (목적격보어: open - 형용사)
  • 예: We heard our names called. (우리는 우리의 이름이 불리는 것을 들었다.) (목적격보어: called - 과거분사, 수동의 의미)

 

 

III. 평서문의 종류: 긍정과 부정

평서문은 내용의 성격에 따라 크게 긍정 평서문과 부정 평서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평서문 긍정문과 부정문

1. 긍정 평서문 (Affirmative/Positive Declarative Sentences)

어떤 사실이나 상태, 의견 등을 긍정적으로 진술하거나 서술하는 평서문입니다. 특별한 부정어 없이 내용을 있는 그대로 전달합니다. 위에서 제시된 대부분의 예문이 긍정 평서문에 해당합니다.

  • 예: The Earth revolves around the Sun. (지구는 태양 주위를 돈다.)
  • 예: She is a talented pianist. (그녀는 재능 있는 피아니스트이다.)
  • 예: We enjoyed the party very much last night. (우리는 어젯밤 파티를 매우 즐겼다.)
  • 예: He can speak three languages fluently. (그는 3개 국어를 유창하게 할 수 있다.)
  • 예: They will visit their grandparents next weekend. (그들은 다음 주말에 조부모님을 방문할 것이다.)

 

2. 부정 평서문 (Negative Declarative Sentences)

어떤 사실이나 상태, 의견 등을 부정하여 진술하거나 서술하는 평서문입니다. 문장 내에 부정어(not, no, never, none, nothing, nobody, nowhere 등)를 포함하여 "아니다", "없다", "~하지 않다" 등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부정문을 만드는 방법은 동사의 종류(be동사, 조동사, 일반동사)에 따라 달라집니다.

  • be동사의 부정문 (be동사 + not):
    • 예: She is not (isn't) a student. (그녀는 학생이 아니다.)
    • 예: They were not (weren't) at home yesterday. (그들은 어제 집에 없었다.)
    • 예: I am not tired. (나는 피곤하지 않다.)
  • 조동사의 부정문 (조동사 + not + 동사원형):
    • 예: He cannot (can't) swim. (그는 수영을 할 수 없다.)
    • 예: You should not (shouldn't) lie. (너는 거짓말을 해서는 안 된다.)
    • 예: They will not (won't) attend the meeting. (그들은 회의에 참석하지 않을 것이다.)
    • 예: I do not (don't) have much time. (do가 조동사로 쓰인 경우)
  • 일반동사의 부정문 (do/does/did + not + 동사원형):
    • 현재 시제:
      • 예: I do not (don't) like horror movies. (나는 공포 영화를 좋아하지 않는다.)
      • 예: She does not (doesn't) eat meat. (그녀는 고기를 먹지 않는다.)
    • 과거 시제:
      • 예: He did not (didn't) go to school yesterday. (그는 어제 학교에 가지 않았다.)
      • 예: We did not (didn't) see anything. (우리는 아무것도 보지 못했다.)
  • 기타 부정어를 사용한 부정 평서문:
    • 예: I never go there alone. (나는 결코 혼자 그곳에 가지 않는다.)
    • 예: There is no milk in the fridge. (냉장고에 우유가 없다.)
    • 예: Nobody knows the answer. (아무도 그 답을 모른다.)
    • 예: She said nothing about it. (그녀는 그것에 대해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IV. 평서문의 기능 및 실제 활용

평서문은 의사소통의 가장 기본적인 수단으로서 다양한 상황에서 폭넓게 활용됩니다.

  • 정보 전달 및 사실 기술: 가장 핵심적인 기능으로, 객관적인 사실, 데이터, 사건 등을 청자나 독자에게 알립니다. 뉴스 기사, 보고서, 설명문 등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 예: The population of the world is constantly increasing. (세계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예: Water boils at 100 degrees Celsius. (물은 섭씨 100도에서 끓는다.)
  • 의견, 생각, 감정 표현: 개인의 주관적인 판단, 믿음, 느낌 등을 전달합니다. 일상 대화, 에세이, 논평 등에서 자주 쓰입니다.
    • 예: I believe that honesty is the best policy. (나는 정직이 최선의 방책이라고 믿는다.)
    • 예: This movie was very touching. (이 영화는 매우 감동적이었다.)
  • 상황 및 상태 묘사: 특정 인물, 사물, 장소의 모습이나 상태, 또는 특정 상황을 그림 그리듯 설명합니다. 소설, 시, 여행기 등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 예: The old house stood silently on the hill. (그 오래된 집은 언덕 위에 조용히 서 있었다.)
    • 예: The room was dark and cold. (방은 어둡고 추웠다.)
  • 경험 및 일화 서술: 과거에 겪었던 일, 특정 사건, 개인적인 경험 등을 시간 순서대로 또는 특정 관점에 따라 이야기합니다. 일기, 자서전, 이야기 전달 시 활용됩니다.
    • 예: Last summer, my family and I traveled to Jeju Island. (지난 여름, 우리 가족은 제주도로 여행을 갔다.)
    • 예: I once met a famous celebrity by chance on the street. (나는 한번은 길에서 우연히 유명 연예인을 만난 적이 있다.)
  • 설명 및 해설: 특정 개념, 과정, 원리 등을 명확하게 풀어서 설명합니다. 교과서, 사용 설명서, 학술 논문 등에서 중요하게 사용됩니다.
    • 예: Photosynthesis is the process by which green plants use sunlight, water, and carbon dioxide to create their own food. (광합성은 녹색 식물이 햇빛, 물,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스스로 양분을 만드는 과정이다.)

 

V. 평서문 작성 시 유의사항

명확하고 효과적인 평서문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유의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평서문 유의사항

  • 명확성 (Clarity):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모호하지 않고 분명하게 드러나도록 작성해야 합니다. 정확한 어휘 선택과 논리적인 문장 구조가 중요합니다.
  • 간결성 (Conciseness): 불필요한 단어나 표현을 피하고,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간결하게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길고 복잡한 문장은 이해를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 문법적 정확성 (Grammatical Accuracy): 주어-동사 수 일치, 시제 일치, 올바른 품사 사용 등 기본적인 문법 규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문법적 오류는 의미 전달을 방해하고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 완전성 (Completeness): 문장의 필수 성분(주어, 동사 등)을 빠뜨리지 않고 완전한 문장 형태를 갖추어야 합니다. (단, 구어체나 특정 문학적 표현에서는 의도적으로 생략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 일관성 (Consistency): 글 전체의 어조나 관점을 일관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갑작스러운 어투 변화는 독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 마침표 사용: 평서문의 끝에는 반드시 마침표(.)를 찍어 문장의 끝맺음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평서문은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고, 지식을 공유하며, 서로 소통하는 데 있어 가장 근간이 되는 문장 형태입니다. 단순한 사실 전달에서부터 복잡한 생각의 표현에 이르기까지, 평서문의 정확하고 효과적인 사용은 모든 종류의 글쓰기와 말하기 능력의 기초가 됩니다.

긍정문과 부정문, 그리고 다양한 문장 형식을 통해 표현되는 평서문의 구조와 기능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풍부하고 명확한 문장을 구사하는 연습을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평서문을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을 때, 비로소 더 복잡하고 다양한 문장 형태(의문문, 명령문, 감탄문)로 나아갈 수 있는 탄탄한 기반을 갖추게 될 것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