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드디어 접속사/감탄사로 기초파트 끝나는 날입니다.
다같이 화이팅해봐요~~

접속사 (Conjunctions)

접속사는 단어와 단어, 구와 구, 또는 절과 절을 연결하여 문장 구성 요소들 간의 논리적인 관계를 만들어주는 다리 역할을 하는 말입니다. 접속사를 사용하면 생각을 더 길고 복잡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문장의 흐름을 부드럽게 만들어 줍니다.

접속사의 종류와 역할

반응형

접속사에는 크게 세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등위접속사, 종속접속사, 상관접속사.

 

1. 등위접속사 (Coordinating Conjunctions)

등위접속사는 문법적으로 대등한 관계에 있는 단어, 구, 절을 연결합니다. 연결되는 요소들은 동일한 문법적 중요성을 가집니다. 대표적인 등위접속사로는 FANBOYS를 기억하면 쉽습니다: For, And, Nor, But, Or, Yet, So.

  • And (그리고, ~와/과): 둘 이상의 요소를 나열하거나 추가적인 정보를 더할 때 사용합니다.
    • 단어 연결: I like apples and bananas. (나는 사과와 바나나를 좋아한다.)
    • 구 연결: She enjoys reading books and watching movies. (그녀는 책 읽는 것과 영화 보는 것을 즐긴다.)
    • 절 연결: He studied hard, and he passed the exam. (그는 열심히 공부했고, 그래서 시험에 합격했다.)
  • But (그러나, 하지만): 대조되거나 반대되는 내용을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
    • 단어 연결: The coffee is hot but delicious. (그 커피는 뜨겁지만 맛있다.)
    • 구 연결: He is poor but happy. (그는 가난하지만 행복하다.)
    • 절 연결: I wanted to go to the party, but I was too tired. (나는 파티에 가고 싶었지만, 너무 피곤했다.)
  • Or (또는, 혹은): 둘 이상의 선택지 중 하나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 단어 연결: Would you like tea or coffee? (차 드시겠어요, 아니면 커피 드시겠어요?)
    • 구 연결: You can pay by cash or use a credit card. (현금으로 지불하거나 신용카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절 연결: You can study now, or you can play later. (지금 공부하거나, 아니면 나중에 놀 수 있다.)
  • So (그래서, 그러므로): 결과나 결론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 절 연결: It was raining, so I took an umbrella. (비가 오고 있어서, 나는 우산을 가져갔다.)
    • 절 연결: She studied diligently, so she got a good grade. (그녀는 성실하게 공부해서, 좋은 성적을 받았다.)
  • For (~왜냐하면): 이유나 원인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문어체적인 느낌이 있으며, 'because'보다 덜 직접적입니다.)
    • 절 연결: I told him to leave, for I was very tired. (나는 그에게 떠나라고 말했다, 왜냐하면 나는 매우 피곤했기 때문이다.)
    • 절 연결: The night was dark, for the moon was hidden by clouds. (달이 구름에 가려져서 밤은 어두웠다.)
  • Nor (~도 또한 아니다): 앞의 부정문에 이어 뒤의 내용도 부정할 때 사용합니다. (주로 'neither'와 함께 쓰이거나, 앞선 부정문에 이어 사용될 때 도치가 일어나기도 합니다.)
    • 절 연결: He doesn't like apples, nor does he like pears. (그는 사과를 좋아하지 않고, 배도 좋아하지 않는다.)
    • 절 연결: She cannot swim, nor can she ride a bicycle. (그녀는 수영을 할 수 없고, 자전거도 탈 수 없다.)
  • Yet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지만): 'but'과 비슷하게 대조적인 내용을 연결하지만, 예상치 못한 반전의 느낌을 더 강하게 줄 때 사용합니다.
    • 절 연결: The weather was cold, yet we went for a walk. (날씨는 추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산책을 갔다.)
    • 절 연결: He claims to be honest, yet he often tells lies. (그는 정직하다고 주장하지만, 종종 거짓말을 한다.)

2. 종속접속사 (Subordinating Conjunctions)

종속접속사는 주절(독립적인 의미를 가지는 절)과 종속절(주절에 의존하여 의미를 보충하는 절)을 연결합니다. 종속절은 주절의 내용을 더 자세하게 설명하거나 시간, 이유, 조건, 양보 등의 의미를 더해줍니다. 종속절은 보통 종속접속사로 시작합니다.

주요 종속접속사의 종류와 의미:

  • 시간을 나타내는 접속사:
    • when (~할 때): My heart beats fast when I see her. (그녀를 볼 때 내 심장이 빨리 뛴다.)
    • while (~하는 동안에, 반면에): While I was sleeping, the phone rang. (내가 자는 동안 전화벨이 울렸다.) / She likes pop music, while her brother prefers classical music. (그녀는 팝 음악을 좋아하는 반면, 그녀의 남동생은 클래식 음악을 선호한다.)
    • as (~하면서, ~할 때, ~ 때문에): As I was walking home, I met an old friend. (집으로 걸어가고 있을 때, 옛 친구를 만났다.)
    • before (~하기 전에): Brush your teeth before you go to bed. (잠자리에 들기 전에 양치질해라.)
    • after (~한 후에): After I finished my homework, I watched TV. (숙제를 끝낸 후에, 나는 TV를 봤다.)
    • until / till (~할 때까지): We waited until he arrived. (우리는 그가 도착할 때까지 기다렸다.)
    • since (~한 이래로 쭉): I have lived here since I was born. (나는 태어난 이래로 쭉 여기에 살고 있다.)
    • as soon as (~하자마자): Call me as soon as you get there. (거기 도착하자마자 나에게 전화해.)
  • 이유나 원인을 나타내는 접속사:
    • because (~ 때문에): I stayed home because I was sick. (나는 아팠기 때문에 집에 머물렀다.)
    • as (~ 때문에, ~이므로): As it was getting late, we decided to go home. (점점 늦어지고 있어서, 우리는 집으로 가기로 결정했다.)
    • since (~ 때문에, ~이므로): Since you are tired, you should take a rest. (피곤하니까, 너는 휴식을 취해야 한다.)
  •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사:
    • if (만약 ~라면): If it rains tomorrow, I will stay home. (만약 내일 비가 온다면, 나는 집에 있을 것이다.)
    • unless (만약 ~가 아니라면): You will fail the exam unless you study harder. (더 열심히 공부하지 않으면, 너는 시험에 떨어질 것이다.)
    • once (일단 ~하면): Once you understand the rule, it's easy. (일단 규칙을 이해하면, 그것은 쉽다.)
    • in case (~할 경우에 대비하여): Take an umbrella in case it rains. (비가 올 경우에 대비해서 우산을 가져가라.)
  • 양보나 대조를 나타내는 접속사:
    • though / although / even though (비록 ~일지라도, ~에도 불구하고): Although it was raining, we went on a picnic. (비록 비가 왔지만, 우리는 소풍을 갔다.) / Even though he is rich, he is not happy. (그는 부자임에도 불구하고, 행복하지 않다.)
    • while / whereas (반면에): He is very talkative, while his sister is shy. (그는 매우 말이 많은 반면, 그의 여동생은 수줍음이 많다.)
    • even if (설령 ~일지라도): I will go there even if you don't want me to. (네가 원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나는 거기에 갈 것이다.)
  • 목적을 나타내는 접속사:
    • so that (~하기 위해서, ~하도록): He studies hard so that he can pass the exam. (그는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 열심히 공부한다.)
    • in order that (~하기 위해서) (격식체): They saved money in order that they could buy a house. (그들은 집을 사기 위해 돈을 모았다.)
  • 결과를 나타내는 접속사:
    • so ~ that ... (너무 ~해서 ...하다): The book was so interesting that I read it all night. (그 책은 너무 재미있어서 나는 밤새도록 읽었다.)
    • such ~ that ... (너무나 ~한 ...이어서 ...하다): It was such a beautiful day that we decided to go for a walk. (너무나 아름다운 날이어서 우리는 산책을 가기로 결정했다.)
  •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하는 절을 만듭니다):
    • that (~라는 것, ~라고): That he is honest is true. (그가 정직하다는 것은 사실이다. - 주어 역할) / I know that you like her. (나는 네가 그녀를 좋아한다는 것을 안다. - 목적어 역할) / The problem is that we don't have enough time. (문제는 우리가 충분한 시간이 없다는 것이다. - 보어 역할)
    • whether / if (~인지 아닌지): I wonder whether (if) he will come. (나는 그가 올지 안 올지 궁금하다. - 목적어 역할) / Whether she agrees or not doesn't matter. (그녀가 동의하든 안 하든 중요하지 않다. - 주어 역할)
    • 의문사 (who, what, when, where, why, how 등): What he said surprised me. (그가 말한 것이 나를 놀라게 했다. - 주어 역할) / I don't know where she lives. (나는 그녀가 어디에 사는지 모른다. - 목적어 역할)
       

3. 상관접속사 (Correlative Conjunctions)

상관접속사는 짝을 이루어 사용되며, 두 개의 문법적으로 대등한 요소를 연결합니다. 이 접속사들은 특정 관계를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 both A and B (A와 B 둘 다):
    • She likes both cats and dogs. (그녀는 고양이와 개 둘 다 좋아한다.)
    • Both my brother and my sister are doctors. (나의 오빠와 여동생 둘 다 의사이다.)
    • 주의: both A and B가 주어일 경우 항상 복수 취급합니다.
  • either A or B (A 또는 B 둘 중 하나):
    • You can have either coffee or tea. (커피나 차 둘 중 하나를 마실 수 있습니다.)
    • Either he or she has to go. (그 또는 그녀 둘 중 한 명은 가야 한다.)
    • 주의: either A or B가 주어일 경우 동사는 B에 일치시킵니다. (예: Either you or I am wrong.)
  • neither A nor B (A도 B도 아닌):
    • He likes neither coffee nor tea. (그는 커피도 차도 좋아하지 않는다.)
    • Neither he nor his parents knew the truth. (그도 그의 부모님도 그 사실을 몰랐다.)
    • 주의: neither A nor B가 주어일 경우 동사는 B에 일치시킵니다. (예: Neither you nor she is responsible.)
  • not only A but also B (A뿐만 아니라 B도):
    • She is not only beautiful but also smart. (그녀는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똑똑하기도 하다.)
    • Not only he but also his friends came to the party. (그뿐만 아니라 그의 친구들도 파티에 왔다.)
    • 주의: not only A but also B가 주어일 경우 동사는 B에 일치시킵니다. (예: Not only I but also he is excited.)
    • B as well as A와 의미가 유사합니다.
  • B as well as A (A뿐만 아니라 B도 역시):
    • She is smart as well as beautiful. (그녀는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똑똑하기도 하다.)
    • His friends as well as he came to the party. (그뿐만 아니라 그의 친구들도 파티에 왔다.)
    • 주의: B as well as A가 주어일 경우 동사는 B(앞에 나오는 명사)에 일치시킵니다. (예: He as well as I is excited.)

 

감탄사 (Interjections)

감탄사는 기쁨, 놀람, 슬픔, 아픔, 분노 등 강한 감정이나 느낌을 갑자기 표현할 때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문법적으로 문장의 다른 부분과 직접적인 관련 없이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보통 느낌표(!)나 쉼표(,)와 함께 쓰입니다.

감탄사 역할 및 특징

감탄사는 격식 없는 대화나 글에서 감정을 생생하게 전달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주요 감탄사의 종류와 예시:

  • Wow! (와!, 와우!) - 놀람, 감탄
    • Wow! This view is amazing! (와! 이 경치 정말 멋지다!)
    • Wow! You got a new car! (와우! 새 차 뽑았네!)
  • Oh! (오!, 아!) - 놀람, 깨달음, 실망, 고통 등 다양한 감정
    • Oh! I didn't see you there. (오! 거기 계신 줄 몰랐어요. - 놀람)
    • Oh, now I understand. (아, 이제 이해가 되네. - 깨달음)
    • Oh no! I lost my keys. (오 안돼! 열쇠를 잃어버렸어. - 실망, 당황)
  • Ouch! / Ow! (아야!, 아얏!) - 육체적인 고통
    • Ouch! I just hit my toe. (아야! 방금 발가락을 찧었어.)
    • Ow! That hurts! (아얏! 그거 아프다!)
  • Oops! / Whoops! (어이쿠!, 이런!) - 실수했을 때, 당황스러울 때
    • Oops! I spilled the coffee. (어이쿠! 커피를 쏟았네.)
    • Whoops! Wrong number. (이런! 전화 잘못 걸었어요.)
  • Well, (음, 글쎄, 저기) - 말을 시작할 때, 생각할 시간을 벌 때, 놀람이나 안도 등을 표현할 때
    • Well, I think it's a good idea. (음, 제 생각에는 좋은 생각 같아요.)
    • Well, well! Look who's here! (어머나! 이게 누구야!)
  • Hey! (이봐!, 야!, 어이!) - 주의를 끌거나, 가볍게 부를 때, 놀람이나 기쁨을 표현할 때
    • Hey! What are you doing? (이봐! 뭐 하고 있어?)
    • Hey, that's great news! (야, 그거 정말 좋은 소식이다!)
  • Alas! (아아!, 슬프다!) - 슬픔, 비탄, 유감 (문어체적인 느낌)
    • Alas! He is gone forever. (아아! 그는 영원히 가버렸네.)
  • Bravo! (브라보!) - 칭찬, 갈채
    • Bravo! That was a wonderful performance! (브라보! 정말 훌륭한 공연이었어요!)
  • Hurray! / Hooray! (만세!, 야호!) - 기쁨, 환호
    • Hurray! We won the game! (만세! 우리가 경기에서 이겼다!)
  • Ugh! (으!, 에잇!) - 혐오, 불쾌감
    • Ugh! This smells terrible. (으! 이거 냄새가 끔찍해.)
  • Hmm. (흠.) - 생각, 의심, 망설임
    • Hmm. I'm not sure about that. (흠. 그건 잘 모르겠는데.)

여기까지 접속사와 감탄사에 대한 설명이었습니다. 접속사는 문장을 논리적으로 연결하고 확장하는 데 필수적이며, 감탄사는 감정을 표현하여 대화나 글을 더 생동감 있게 만들어 줍니다. 오늘 배운 내용들을 잘 기억해 두시면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거예요!

혹시 설명 중에 이해가 안 되거나 더 궁금한 부분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해주세요!

 

다음 강의로 가볼까용

2025.05.25 - [영어/문법] - [영어 스터디] 문장의 구성 요소 : 주어 (Subject)

 

[영어 스터디] 문장의 구성 요소 : 주어 (Subject)

안녕하세요! 우리가 지난 시간에 함께 정리한 문법 목차를 바탕으로 오늘은 문장의 구성 요소 (Sentence Elements) 중 첫 번째인 주어 (Subject) 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주어는 문장을 이루는

sucksa-himdleall.tistory.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