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 보어란 무엇인가? 문장의 의미를 완성하는 핵심 조력자!

보어(Complement)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보충하여 완전하게 만드는 말'이라는 의미를 지닙니다. 문장이라는 하나의 그림을 그릴 때, 주어나 목적어만으로는 밑그림에 해당하여 그 의미가 다소 모호하거나 불완전할 수 있습니다. 이때 보어는 마치 화가가 그림에 색을 칠하고 세부 묘사를 더해 작품을 완성하듯, 주어나 목적어의 정체성, 현재 처한 상태, 가지고 있는 성질, 또는 그들이 취하는 행동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문장 전체의 의미를 명확하고 풍부하게 완성시켜주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보어의 역할

만약 필수적인 보어가 문장에서 빠지게 되면, 문장은 문법적으로 틀리거나,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왜곡되거나 이해하기 어렵게 되어 의사소통에 큰 장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he is." 라는 문장은 "그녀는 존재한다"는 철학적인 의미가 아니라면, "그녀가 무엇인지, 어떤 상태인지"에 대한 정보가 없어 불완전하게 느껴집니다. 여기에 "a doctor"나 "happy"와 같은 보어가 추가되어 "She is a doctor." (그녀는 의사이다.) 또는 "She is happy." (그녀는 행복하다.)가 되어야 비로소 완전한 의미를 갖추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They made him." 이라는 문장도 "그들이 그를 어떻게 만들었는지"에 대한 정보가 없어 의미가 불완전합니다. "They made him a leader." (그들은 그를 지도자로 만들었다.) 또는 "They made him happy." (그들은 그를 행복하게 만들었다.)처럼 목적격보어가 와야 문장이 완성됩니다.

보어는 그것이 보충 설명하는 대상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즉 주어를 보충 설명하는 주격보어(Subject Complement, S.C.) 와 목적어를 보충 설명하는 목적격보어(Object Complement, O.C.) 로 구분됩니다. 이 두 가지 보어의 정확한 이해와 활용은 영어 문장 구조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 정교하고 효과적인 영어 표현을 구사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보어는 문장의 뼈대를 이루는 주요 성분 중 하나로, 특히 2형식과 5형식 문장의 핵심 요소입니다.

II. 주격보어 (Subject Complement, S.C.)

주격 보어 역할

주격보어는 문장의 주어를 보충 설명하는 말로, 주어의 정체, 상태, 성질, 신분 등을 구체적으로 밝혀줍니다. 기본적으로 "주어 = 주격보어" 의 관계가 성립하거나, "주어가 ~한 상태이다" 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주격보어는 주로 2형식 문장 (주어 + 동사 + 주격보어) 에서 사용되며, 주어와 동사만으로는 문장의 의미가 완전하지 않을 때 필요합니다.

주격보어를 필요로 하는 대표적인 동사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동사들은 그 자체만으로는 완전한 의미를 전달하기 어렵고, 뒤따르는 보어를 통해 비로소 문장의 의미가 완성됩니다.

  • be 동사 (is, am, are, was, were, be, been, being): 가장 대표적인 연결동사로, 주어의 정체(~이다)나 상태(~있다)를 나타냅니다.
    • 예: My mother is a kind person. (나의 어머니는 친절한 분이시다.)
    • 예: The keys were on the table. (열쇠들은 테이블 위에 있었다.)
  • 상태 변화 동사 (become, get, grow, turn, go, come, fall, run): 주어가 어떤 상태로 변하는 과정이나 결과를 나타냅니다. (~가 되다, ~해지다)
    • 예: The weather became warmer. (날씨가 더 따뜻해졌다.)
    • 예: He got angry at the news. (그는 그 소식에 화가 났다.)
    • 예: The leaves turn red in autumn. (나뭇잎들은 가을에 빨갛게 변한다.)
    • 예: Milk goes bad if left out of the fridge. (우유는 냉장고 밖에 두면 상한다.)
    • 예: Her dream came true. (그녀의 꿈이 이루어졌다.)
    • 예: He fell asleep during the movie. (그는 영화 도중에 잠이 들었다.)
    • 예: The river ran dry during the drought. (그 강은 가뭄 동안 말라버렸다.)
  • 감각 동사 (look, sound, smell, taste, feel): 주어가 감각을 통해 어떻게 인식되는지를 나타냅니다. 주로 형용사를 보어로 취하여 "~하게 보이다, ~하게 들리다, ~한 냄새가 나다, ~한 맛이 나다, ~하게 느껴지다"의 의미를 가집니다.
    • 주의: 감각동사 뒤에 명사가 올 경우에는 전치사 like와 함께 사용되어 "~처럼 보이다/들리다 등"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예: She looks like an angel.)
    • 예: You look tired today. (너 오늘 피곤해 보인다.)
    • 예: Her voice sounds sweet. (그녀의 목소리는 감미롭게 들린다.)
    • 예: This flower smells good. (이 꽃은 좋은 향기가 난다.)
    • 예: The soup tastes a bit salty. (그 수프는 약간 짠맛이 난다.)
    • 예: I feel much better now. (나는 지금 훨씬 기분이 좋다.)
  • 상태 유지/판단 동사 (seem, appear, prove, remain, keep, stay, hold, lie, stand): 주어가 어떤 상태를 유지하거나, 주어에 대한 판단을 나타냅니다. (~인 것 같다, ~임이 판명되다, ~인 채로 있다)
    • 예: He seems honest. (그는 정직해 보인다.)
    • 예: She appeared calm despite the situation. (그녀는 그 상황에도 불구하고 침착해 보였다.)
    • 예: The rumor proved true. (그 소문은 사실로 판명되었다.)
    • 예: They remained friends for life. (그들은 평생 친구로 남았다.)
    • 예: Please keep quiet in the library. (도서관에서는 조용히 해주세요.)
    • 예: The weather stayed warm all week. (날씨가 일주일 내내 따뜻했다.)
    • 예: The agreement still holds good. (그 합의는 여전히 유효하다.)
    • 예: The village lies hidden in the valley. (그 마을은 계곡 속에 숨겨져 있다.)
    • 예: The decision stands as it is. (그 결정은 그대로 유지된다.)

 

주격보어 주요 형태

반응형

1. 명사(구/절)가 주격보어인 경우 (주어 = 주격보어)

주어의 정체, 직업, 이름, 관계 등을 구체적으로 밝히거나, 주어가 가리키는 내용(to부정사, 동명사, 명사절)을 설명합니다. 이 경우 "주어는 보어이다"라는 등식이 성립합니다.

예시:

  • She is a doctor. (그녀는 의사이다.)
    • 주어: She, 주격보어: a doctor (그녀 = 의사)
  • Mr. Kim is our new English teacher. (김 선생님은 우리의 새로운 영어 선생님이시다.)
    • 주어: Mr. Kim, 주격보어: our new English teacher (김 선생님 = 우리의 새로운 영어 선생님)
  • My dream is to become a pilot. (나의 꿈은 조종사가 되는 것이다.)
    • 주어: My dream, 주격보어: to become a pilot (to부정사구, 나의 꿈 = 조종사가 되는 것)
    • 설명: to부정사가 명사처럼 쓰여 주어의 내용을 설명합니다.
  • The problem is that we don't have enough time. (문제는 우리가 충분한 시간이 없다는 것이다.)
    • 주어: The problem, 주격보어: that we don't have enough time (that절, 문제 = 우리가 충분한 시간이 없다는 것)
    • 설명: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이 주어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 He became a famous actor after years of effort. (그는 수년간의 노력 끝에 유명한 배우가 되었다.)
    • 주어: He, 주격보어: a famous actor (그 = 유명한 배우)
  • This is my new car, which I bought yesterday. (이것은 내가 어제 산 나의 새 차이다.)
    • 주어: This, 주격보어: my new car (이것 = 나의 새 차)
  • What I want for my birthday is a new laptop. (내가 생일 선물로 원하는 것은 새 노트북이다.)
    • 주어: What I want for my birthday (명사절), 주격보어: a new laptop
  • Her hobby is collecting stamps from different countries. (그녀의 취미는 여러 나라의 우표를 수집하는 것이다.)
    • 주어: Her hobby, 주격보어: collecting stamps from different countries (동명사구)
    • 설명: 동명사구가 명사처럼 쓰여 주어의 내용을 설명합니다.
  • The winner of the competition was Tom, my classmate. (그 대회의 우승자는 나의 반 친구인 탐이었다.)
    • 주어: The winner of the competition, 주격보어: Tom, my classmate
  • Our primary goal for this project is success in the market. (이 프로젝트에 대한 우리의 주요 목표는 시장에서의 성공이다.)
    • 주어: Our primary goal for this project, 주격보어: success in the market
  • The fact remains that he lied to everyone. (그가 모든 사람에게 거짓말을 했다는 사실은 변함없다.)
    • 주어: The fact, 주격보어: that he lied to everyone (that절, 동격으로도 볼 수 있음)
  • One important question is whether we can finish it on time. (한 가지 중요한 질문은 우리가 그것을 제시간에 끝낼 수 있는지 여부이다.)
    • 주어: One important question, 주격보어: whether we can finish it on time (whether절)

2. 형용사(구)가 주격보어인 경우 (주어가 ~한 상태/성질이다)

주어의 상태, 성질, 감정, 외모, 특징 등을 구체적으로 묘사하거나 설명합니다.

예시:

  • She looks happy with her new job. (그녀는 새 직장에 만족하여 행복해 보인다.)
    • 주어: She, 주격보어: happy (그녀의 감정 상태)
  • The weather is beautiful today, perfect for a picnic. (오늘 날씨가 아름다워서 소풍 가기에 완벽하다.)
    • 주어: The weather, 주격보어: beautiful (날씨의 성질)
  • This soup tastes delicious; you should try some. (이 수프는 맛있다; 너도 좀 먹어봐.)
    • 주어: This soup, 주격보어: delicious (수프의 맛)
  • He felt tired after the long and exhausting journey. (그는 길고 지치는 여행 후에 피곤함을 느꼈다.)
    • 주어: He, 주격보어: tired (그의 신체 상태)
  • The music from the concert sounds wonderful and uplifting. (콘서트에서 나온 음악은 훌륭하고 기분을 좋게 한다.)
    • 주어: The music from the concert, 주격보어: wonderful and uplifting (음악의 성질)
  • The leaves turned red and yellow in autumn, creating a beautiful scenery. (나뭇잎들이 가을에 빨갛고 노랗게 변하여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었다.)
    • 주어: The leaves, 주격보어: red and yellow (나뭇잎의 상태 변화)
  • It seems impossible to finish this enormous amount of work by tomorrow. (내일까지 이 엄청난 양의 일을 끝내는 것은 불가능해 보인다.)
    • 주어: It (가주어), 진주어: to finish this enormous amount of work by tomorrow, 주격보어: impossible (상황에 대한 판단)
  • The children remained silent during the entire movie, completely absorbed. (아이들은 영화 내내 완전히 몰입하여 조용히 있었다.)
    • 주어: The children, 주격보어: silent (아이들의 상태 유지)
  • My coffee got cold because I was busy on the phone. (전화 통화하느라 바빠서 내 커피가 식었다.)
    • 주어: My coffee, 주격보어: cold (커피의 상태 변화)
  • The baby is asleep in his crib. (아기가 아기 침대에서 잠들어 있다.)
    • 주어: The baby, 주격보어: asleep (아기의 상태)
    • 참고: asleep, alive, afraid 등 a-로 시작하는 형용사는 주로 보어로만 쓰이며 명사를 직접 수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The situation grew serious as the deadline approached. (마감일이 다가오면서 상황이 심각해졌다.)
    • 주어: The situation, 주격보어: serious (상황의 상태 변화)
  • This fabric feels soft and smooth. (이 천은 부드럽고 매끄럽게 느껴진다.)
    • 주어: This fabric, 주격보어: soft and smooth (천의 질감)

3. 기타 형태의 주격보어

  • 전치사구: 때로는 장소, 시간, 상태, 관계 등을 나타내는 전치사구가 주격보어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특히 be동사와 함께 쓰여 주어의 위치나 상태를 설명합니다.
    • The book is on the desk in my room. (그 책은 내 방 책상 위에 있다.)
      • 주어: The book, 주격보어: on the desk in my room (책의 위치)
    • She is in good health despite her age. (그녀는 나이에도 불구하고 건강 상태가 좋다.)
      • 주어: She, 주격보어: in good health (그녀의 건강 상태)
    • The meeting is at 3 p.m. (회의는 오후 3시 정각에 있다.)
      • 주어: The meeting, 주격보어: at 3 p.m. (회의 시간)
    • He is of noble birth. (그는 귀족 출신이다.)
      • 주어: He, 주격보어: of noble birth (그의 출신/배경)
  • 부사(구): 드물지만, 장소나 시간을 나타내는 일부 부사(구)가 be동사 뒤에서 주격보어처럼 쓰이기도 합니다. (예: The party is over. The time is up.)

III. 목적격보어 (Object Complement, O.C.)

목적격 보어 역할

목적격보어는 목적어를 보충 설명하는 말로, 목적어의 정체, 상태, 성질, 행위 등을 구체적으로 나타냅니다. 기본적으로 "목적어 = 목적격보어" 의 관계가 성립하거나, "목적어가 ~한 상태/행동을 하다" 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목적격보어는 주로 5형식 문장 (주어 + 동사 + 목적어 + 목적격보어) 에서 사용되며, 주어, 동사, 목적어만으로는 문장의 의미가 완전하지 않을 때 필요합니다. 목적격보어는 목적어 바로 뒤에 위치하여 목적어와 의미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됩니다.

목적격보어를 필요로 하는 대표적인 동사들은 그 의미와 목적격보어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습니다.

  • 사역동사 (make, have, let): 목적어가 특정 행동을 하도록 만들거나 시키거나 허락하는 의미를 가집니다. 목적격보어로는 주로 동사원형(원형부정사) 이 옵니다.
    • make: (강제적으로) ~하게 만들다
    • have: (요청, 지시하여) ~하게 하다
    • let: (허락하여) ~하게 하다
    • 참고: 준사역동사 help는 목적격보어로 동사원형 또는 to부정사 둘 다 가능합니다. (예: She helped me (to) find my keys.)
  • 지각동사 (see, hear, feel, watch, notice, observe, listen to, look at): 목적어가 어떤 행동을 하거나 어떤 상태에 있는 것을 감각기관을 통해 인지하는 의미를 가집니다. 목적격보어로는 동사원형 (행동의 완료 또는 전체) 또는 현재분사(-ing) (행동의 진행)가 올 수 있습니다.
  • 상태/생각/판단 동사 (think, believe, consider, find, know, suppose, imagine, judge, deem, assume): 주어가 목적어를 어떤 대상이나 상태라고 생각하거나 판단하는 의미를 가집니다. 목적격보어로는 주로 명사(구)형용사(구) 가 옵니다. (때로는 as + 명사/형용사 형태도 사용)
  • 상태 변화/유지 동사 (make, turn, keep, leave, drive, render, set): 주어가 목적어를 특정 상태로 만들거나, 변화시키거나, 유지하는 의미를 가집니다. 목적격보어로는 주로 형용사(구)명사(구) 가 옵니다.
  • 명명/선출 동사 (call, name, appoint, elect, choose, nominate, designate): 주어가 목적어를 특정 이름으로 부르거나, 특정 직책이나 역할로 임명하거나 선출하는 의미를 가집니다. 목적격보어로는 주로 명사(구) 가 옵니다.
  • 요구/기대/설득/허락 동사 (want, wish, expect, ask, tell, allow, enable, advise, order, persuade, encourage, cause, force, get, require, permit, forbid, compel, urge, teach 등): 주어가 목적어에게 특정 행동을 하도록 요구하거나, 기대하거나, 설득하거나, 허락하는 등의 의미를 가집니다. 목적격보어로는 주로 to부정사가 옵니다.

 

목적격보어 주요 형태

 

목적격보어 주요 동사 유형

1. 명사(구)가 목적격보어인 경우 (목적어 = 목적격보어)

목적어의 정체, 이름, 직함, 역할 등을 구체적으로 밝힙니다. 이 경우 "목적어는 목적격보어이다"라는 등식이 성립합니다.

예시:

  • They made him their leader unanimously. (그들은 만장일치로 그를 그들의 지도자로 만들었다.)
    • 목적어: him, 목적격보어: their leader (그 = 그들의 지도자)
  • We call our dog Max, and he always responds. (우리는 우리 개를 맥스라고 부르는데, 그는 항상 반응한다.)
    • 목적어: our dog, 목적격보어: Max (우리 개 = 맥스)
  • The president appointed her ambassador to France. (대통령은 그녀를 프랑스 주재 대사로 임명했다.)
    • 목적어: her, 목적격보어: ambassador to France (그녀 = 프랑스 주재 대사)
  • I consider you my best friend and always will. (나는 너를 나의 가장 친한 친구라고 생각하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 목적어: you, 목적격보어: my best friend (너 = 나의 가장 친한 친구)
  • People elected him mayor of the city for a second term. (사람들은 그를 그 도시의 시장으로 재선출했다.)
    • 목적어: him, 목적격보어: mayor of the city (그 = 그 도시의 시장)
  • She named her son Alex after his grandfather. (그녀는 그녀의 아들을 할아버지의 이름을 따서 알렉스라고 이름 지었다.)
    • 목적어: her son, 목적격보어: Alex (그녀의 아들 = 알렉스)
  • The committee chose her chairperson for the event. (위원회는 그 행사의 의장으로 그녀를 선택했다.)
    • 목적어: her, 목적격보어: chairperson for the event (그녀 = 그 행사의 의장)
  • Many critics hailed the movie a masterpiece. (많은 비평가들이 그 영화를 걸작이라고 칭송했다.)
    • 목적어: the movie, 목적격보어: a masterpiece (그 영화 = 걸작)

2. 형용사(구)가 목적격보어인 경우 (목적어가 ~한 상태이다)

목적어의 상태, 성질, 감정, 외모 등을 구체적으로 묘사하거나 설명합니다.

예시:

  • The news made me happy and hopeful. (그 소식은 나를 행복하고 희망차게 만들었다.)
    • 목적어: me, 목적격보어: happy and hopeful (나의 상태/감정)
  • I found the book interesting and very informative. (나는 그 책이 재미있고 매우 유익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목적어: the book, 목적격보어: interesting and very informative (그 책의 성질)
  • Please keep your room clean and tidy at all times. (항상 네 방을 깨끗하고 정돈된 상태로 유지해라.)
    • 목적어: your room, 목적격보어: clean and tidy (방의 상태)
  • He painted the wall blue to match the furniture. (그는 가구와 어울리도록 벽을 파란색으로 칠했다.)
    • 목적어: the wall, 목적격보어: blue (벽의 상태/색깔)
  • She left the window open to get some fresh air. (그녀는 신선한 공기를 쐬기 위해 창문을 열어둔 채로 두었다.)
    • 목적어: the window, 목적격보어: open (창문의 상태)
  • I consider him honest and trustworthy. (나는 그가 정직하고 신뢰할 만하다고 생각한다.)
    • 목적어: him, 목적격보어: honest and trustworthy (그의 성격)
  • This music makes me relaxed after a stressful day. (이 음악은 스트레스 받는 하루 끝에 나를 편안하게 만든다.)
    • 목적어: me, 목적격보어: relaxed (나의 상태/감정)
  • The long walk rendered them exhausted. (그 오랜 산책은 그들을 기진맥진하게 만들었다.)
    • 목적어: them, 목적격보어: exhausted (그들의 상태)
  • We believe her innocent of the charges. (우리는 그녀가 그 혐의에 대해 무죄라고 믿는다.)
    • 목적어: her, 목적격보어: innocent (그녀의 상태/판단)

3. to부정사가 목적격보어인 경우 (목적어가 ~하도록 하다/시키다/원하다/기대하다 등)

목적어가 앞으로 할 행동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주로 목적어의 의지, 능력, 또는 미래의 행동과 관련된 동사들(want, ask, tell, allow, expect, advise, order, persuade, encourage, cause, force, get, enable, forbid, compel, request, urge, teach 등)과 함께 사용됩니다.

예시:

  • I want you to study hard for your exams. (나는 네가 시험을 위해 열심히 공부하기를 원한다.)
    • 목적어: you, 목적격보어: to study hard (네가 할 행동)
  • She asked me to help her with her homework. (그녀는 나에게 그녀의 숙제를 도와달라고 요청했다.)
    • 목적어: me, 목적격보어: to help her (내가 할 행동)
  • My parents allowed me to go to the party with my friends. (부모님은 내가 친구들과 함께 파티에 가는 것을 허락하셨다.)
    • 목적어: me, 목적격보어: to go to the party (내가 할 행동)
  • The doctor advised him to quit smoking immediately. (의사는 그에게 즉시 담배를 끊으라고 조언했다.)
    • 목적어: him, 목적격보어: to quit smoking (그가 할 행동)
  • He told me to wait here until he comes back. (그는 나에게 그가 돌아올 때까지 여기서 기다리라고 말했다.)
    • 목적어: me, 목적격보어: to wait (내가 할 행동)
  • We expect them to arrive soon, by the next train. (우리는 그들이 다음 기차로 곧 도착할 것이라고 예상한다.)
    • 목적어: them, 목적격보어: to arrive soon (그들이 할 행동)
  • The teacher encouraged students to read more books to broaden their perspectives. (선생님은 학생들이 시야를 넓히기 위해 책을 더 많이 읽도록 격려했다.)
    • 목적어: students, 목적격보어: to read more books (학생들이 할 행동)
  • The heavy rain caused the river to flood the nearby towns. (폭우로 인해 강이 범람하여 인근 마을들을 침수시켰다.)
    • 목적어: the river, 목적격보어: to flood (강이 한 행동)
  • The new software enables users to edit videos more easily. (새로운 소프트웨어는 사용자들이 비디오를 더 쉽게 편집할 수 있도록 해준다.)
    • 목적어: users, 목적격보어: to edit videos (사용자들이 할 수 있는 행동)
  • The manager persuaded her to accept the new position. (매니저는 그녀가 새 직책을 수락하도록 설득했다.)
    • 목적어: her, 목적격보어: to accept (그녀가 한 행동)

4. 동사원형(원형부정사)이 목적격보어인 경우 (목적어가 ~하는 것을 시키다/보다/듣다)

주로 사역동사(make, have, let)나 지각동사(see, hear, feel, watch, notice, observe 등) 뒤에 와서 목적어가 하는 행동을 직접적으로 나타냅니다.

예시 (사역동사):

  • My mom made me clean my room before I could go out. (엄마는 내가 외출하기 전에 내 방을 청소하게 시키셨다.)
    • 목적어: me, 목적격보어: clean (내가 한 행동 - 강제성)
  • I had my brother fix my computer because he is good at it. (나는 남동생이 컴퓨터를 잘 고쳐서 그에게 내 컴퓨터를 고치게 했다.)
    • 목적어: my brother, 목적격보어: fix (남동생이 한 행동 - 요청/지시)
  • She let her children play outside in the garden. (그녀는 아이들이 정원에서 밖에서 놀도록 허락했다.)
    • 목적어: her children, 목적격보어: play (아이들이 한 행동 - 허락)
  • The coach made the players run ten laps around the field. (코치는 선수들이 운동장 열 바퀴를 뛰게 만들었다.)
    • 목적어: the players, 목적격보어: run

예시 (지각동사):

  • I saw him cross the street quickly. (나는 그가 재빨리 길을 건너는 것을 보았다. - 행동 전체를 봄)
    • 목적어: him, 목적격보어: cross (그가 한 행동)
  • We heard someone sing a song beautifully from the next room. (우리는 옆방에서 누군가가 아름답게 노래 부르는 것을 들었다.)
    • 목적어: someone, 목적격보어: sing (누군가가 한 행동)
  • She felt the ground shake suddenly during the earthquake. (그녀는 지진 동안 갑자기 땅이 흔들리는 것을 느꼈다.)
    • 목적어: the ground, 목적격보어: shake (땅이 한 행동)
  • They watched the artist paint a portrait with great skill. (그들은 그 화가가 매우 능숙하게 초상화를 그리는 것을 지켜보았다.)
    • 목적어: the artist, 목적격보어: paint
  • I noticed a stranger enter the building. (나는 낯선 사람이 건물로 들어가는 것을 알아챘다.)
    • 목적어: a stranger, 목적격보어: enter

5. 현재분사(-ing)가 목적격보어인 경우 (목적어가 ~하고 있는 것을 보다/듣다/유지하다)

지각동사 뒤에서 목적어가 하는 행동이 진행 중임을 강조하거나, keep, find, leave, catch, set 등의 동사 뒤에서 목적어의 지속적인 상태나 동작을 나타냅니다.

예시 (지각동사 - 행동의 진행 강조):

  • I saw him crossing the street when the car approached. (나는 그 차가 다가올 때 그가 길을 건너고 있는 것을 보았다. - 진행 중인 행동)
    • 목적어: him, 목적격보어: crossing
  • She heard the baby crying loudly in the nursery. (그녀는 아기가 아기 방에서 시끄럽게 울고 있는 소리를 들었다.)
    • 목적어: the baby, 목적격보어: crying
  • We watched the stars twinkling brightly in the clear night sky. (우리는 맑은 밤하늘에서 별들이 밝게 반짝이고 있는 것을 보았다.)
    • 목적어: the stars, 목적격보어: twinkling
  • I felt my heart beating fast with excitement. (나는 흥분으로 심장이 빠르게 뛰고 있는 것을 느꼈다.)
    • 목적어: my heart, 목적격보어: beating

예시 (기타 동사 - 지속적인 상태나 동작):

  • He kept me waiting for an hour in the rain. (그는 나를 빗속에서 한 시간 동안 기다리게 했다.)
    • 목적어: me, 목적격보어: waiting (기다리는 상태 지속)
  • I found him sleeping on the sofa when I came home. (집에 왔을 때 나는 그가 소파에서 자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 목적어: him, 목적격보어: sleeping (자고 있는 상태 발견)
  • Don't leave the water running while you brush your teeth. (양치질하는 동안 물을 틀어놓은 채로 두지 마라.)
    • 목적어: the water, 목적격보어: running (물이 계속 흐르는 상태)
  • The police caught the thief trying to escape. (경찰은 도둑이 탈출하려고 시도하는 것을 잡았다.)
    • 목적어: the thief, 목적격보어: trying to escape
  • The sudden noise set my nerves jangling. (그 갑작스러운 소리가 내 신경을 곤두서게 했다.)
    • 목적어: my nerves, 목적격보어: jangling

6. 과거분사(-ed/-en)가 목적격보어인 경우 (목적어가 ~되도록 하다, ~된 상태이다)

목적어와 목적격보어의 관계가 수동일 때 사용됩니다. 즉, 목적어가 어떤 행위를 당하거나 어떤 행위의 결과로 특정 상태가 되는 것을 나타냅니다. 주로 사역동사(have, make, get), 지각동사, want, find, leave, keep 등과 함께 쓰입니다.

예시:

  • I had my car repaired at the garage yesterday. (나는 어제 정비소에서 내 차를 수리시켰다. - 차가 수리되는 것)
    • 목적어: my car, 목적격보어: repaired (수동 관계)
  • She got her hair cut in a new style. (그녀는 새로운 스타일로 머리를 잘랐다. - 머리카락이 잘리는 것)
    • 목적어: her hair, 목적격보어: cut (수동 관계)
  • I want this work finished by tomorrow morning at the latest. (나는 이 일이 늦어도 내일 아침까지는 끝내지기를 원한다.)
    • 목적어: this work, 목적격보어: finished (수동 관계)
  • He heard his name called from across the room. (그는 방 건너편에서 자신의 이름이 불리는 것을 들었다.)
    • 목적어: his name, 목적격보어: called (수동 관계)
  • We found the door locked when we arrived. (우리가 도착했을 때 문이 잠겨 있는 것을 발견했다.)
    • 목적어: the door, 목적격보어: locked (수동적 상태)
  • She left the dishes unwashed in the sink. (그녀는 설거지를 하지 않은 채로 싱크대에 두었다.)
    • 목적어: the dishes, 목적격보어: unwashed (수동적 상태)
  • Make sure you have your homework done before you go out to play. (놀러 나가기 전에 숙제가 다 되어 있도록 해라.)
    • 목적어: your homework, 목적격보어: done (수동 관계)
  • He made his voice heard above the crowd. (그는 군중들 위로 자신의 목소리가 들리게 했다.)
    • 목적어: his voice, 목적격보어: heard (수동 관계)
  • I saw a car parked illegally on the sidewalk. (나는 보도 위에 불법 주차된 차를 보았다.)
    • 목적어: a car, 목적격보어: parked (수동적 상태)
  • They kept the gate closed at night for security. (그들은 보안을 위해 밤에는 문을 닫아 두었다.)
    • 목적어: the gate, 목적격보어: closed (수동적 상태)

IV. 보어와 다른 문장 성분 구별하기

보어는 문장 구조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지만, 때로는 다른 문장 성분, 특히 목적어나 부사와 혼동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구별 방법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어와 다른 문장성분 구별

  • 보어 vs. 목적어:
    • 주격보어와 목적어의 구별:
      • 주격보어는 주어와 동격 관계(S=SC)이거나 주어의 상태/성질을 설명합니다. (예: She is a teacher. / She is happy.)
      • 목적어는 동사의 행위가 직접 미치는 대상입니다. 주어와 목적어는 서로 다른 대상을 가리킵니다 (S ≠ O). (예: She teaches students. (students는 teacher가 아님))
      • 문장 예시 비교:
        • He is a doctor. (주격보어: He = a doctor)
        • He met a doctor. (목적어: He ≠ a doctor, 만난 대상)목적격보어와 (두 번째) 목적어의 구별 (4형식 vs. 5형식):

          목적격보어, 직접목적어, OC, DO

          • 목적격보어는 목적어와 동격 관계(O=OC)이거나 목적어의 상태/행위/성질을 설명합니다. (예: They elected him president. (him = president) / They made him happy. (him is happy))
          • 4형식 문장의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는 서로 다른 대상을 나타내며, "누구에게 무엇을"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예: She gave me a book. (me ≠ a book))
          • 문장 예시 비교:
            • I found him a good worker. (5형식: him = a good worker)
            • I found him a good job. (4형식: him ≠ a good job, 그에게 일자리를 찾아주었다)
            • She called me a taxi. (4형식: 나에게 택시를 불러주었다)
            • She called me a fool. (5형식: 나를 바보라고 불렀다, me = a fool)
  • 보어 vs. 부사(구):
    • 주격보어(형용사)와 부사의 구별:
      주격보어 vs 부사
      • 형용사 보어는 주어(명사)의 상태나 성질을 설명하며 문장의 필수 성분입니다. 생략하면 문장이 불완전해지거나 의미가 달라집니다. (예: She looks happy. (happy는 She를 설명))
      • 부사는 동사, 형용사, 다른 부사, 또는 문장 전체를 수식하며 주로 방법, 시간, 장소, 정도, 이유 등을 나타냅니다. 많은 경우 생략해도 문법적으로 완전한 문장이 유지됩니다. (예: She sings happily. (happily는 sings를 수식))
      • 감각동사(look, feel, smell, taste, sound) 뒤에는 주어의 상태를 설명하는 형용사 보어가 옵니다. 부사가 오면 동사를 수식하게 되어 의미가 달라지거나 어색해집니다.
        • The flower smells sweet. (O) (꽃에서 단 냄새가 난다 - 꽃의 상태)
        • The flower smells sweetly. (X 또는 다른 의미: 개가 코를 킁킁거리며 '달콤하게' 냄새를 맡는다 - 행동 방식)
    • 목적격보어(형용사)와 부사의 구별:

      목적격보어 (형용사) vs 부사


      형용사 목적격보어는 목적어(명사)의 상태나 성질을 설명합니다. (예: He painted the house white. (white는 the house를 설명))
      • 부사는 주로 동사를 수식하여 목적어의 상태가 아닌, 동사의 행위 방식을 설명합니다. (예: He painted the house quickly. (quickly는 painted를 수식))
      • 문장 예시 비교:
        • She found the work easy. (목적격보어: the work is easy)
        • She found the work easily. (부사: 일을 쉽게 찾았다 - find를 수식)
        • He kept the room warm. (목적격보어: the room is warm)
        • He kept the key safely. (부사: 열쇠를 안전하게 보관했다 - kept를 수식)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보어는 문장에서 주어나 목적어의 의미를 구체화하고 풍부하게 만들어주는 핵심적인 문장 성분입니다. 주격보어는 주어의 정체성이나 상태를 명확히 밝혀주며, 목적격보어는 목적어의 상태, 변화, 또는 목적어가 취하는 행동을 상세히 설명하여 문맥을 더욱 명확하게 전달합니다. 단순히 단어를 나열하는 것을 넘어, 문장이 완전한 의미를 갖도록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다양한 형태의 보어(명사, 형용사, to부정사, 동사원형, 분사 등)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5형식 문장에서 목적격보어의 형태는 주절 동사의 종류에 따라 민감하게 달라지므로, 각 동사의 특성과 함께 목적격보어의 형태를 정확히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영어의 다양한 표현을 이해하고 구사하는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것입니다.

보어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문장 속에서 이를 식별하는 능력은 영어 문장 구조를 분석하고, 더 나아가 정확하고 자연스러운 영어를 구사하는 데 필수적인 기초가 됩니다. 수많은 예문들을 통해 보어의 다양한 쓰임을 접하고, 문장 내에서 주어-동사-보어 또는 주어-동사-목적어-목적격보어의 관계를 파악하는 연습을 꾸준히 하는 것이 영어 실력 향상의 지름길이 될 것입니다. 보어의 세계를 탐험하며 영어 문장의 깊이를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이전 강의로~

2025.05.27 - [영어/문법] - [영어문법] 문장의 구성 요소 : 목적어 (Object)

 

[영어문법] 문장의 구성 요소 : 목적어 (Object)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영어 문장을 이루는 핵심 요소 중 하나인 **목적어(Object)**에 대해 아주 자세하고 깊이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목적어는 동사의 동작이 직접적으로 미치거나, 전치사의

sucksa-himdleall.tistory.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