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 명령문 (Imperative Sentences)

1. 명령문이란 무엇인가? 지시, 요청, 제안을 전달하는 문장!

명령문(Imperative Sentence)은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직접적으로 지시하거나, 요청, 제안, 권유, 또는 금지하는 내용을 전달할 때 사용하는 문장 형태입니다. 평서문이 사실을 전달하고 의문문이 질문을 한다면, 명령문은 듣는 이(청자)의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명령문 정의와 기본 형태

명령문의 가장 큰 특징은 문장의 주어인 'You'(너, 당신, 너희들)가 일반적으로 생략된다는 점입니다. 왜냐하면 명령은 보통 바로 앞에 있는 상대방에게 하기 때문입니다. 동사는 항상 원형을 사용하며, 문맥에 따라 문장의 끝에는 마침표(.)나 느낌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느낌표는 좀 더 강한 어조나 감정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명령문의 핵심 기능:

  • 직접적인 지시/명령: 상대방에게 특정 행동을 하도록 강하게 요구합니다. (예: Stop talking!)
  • 요청/부탁: 상대방에게 무언가를 해달라고 부드럽게 부탁합니다. (예: Please help me.)
  • 제안/권유: 함께 무언가를 하거나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권합니다. (예: Let's go home. / Try this cake.)
  • 금지: 특정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막습니다. (예: Don't touch that.)
  • 안내/지시 (길 안내 등): 절차나 방향을 알려줍니다. (예: Go straight and turn left.)

2. 명령문의 형태 및 종류

명령문 형태와 종류

 

가. 긍정 명령문 (Affirmative Imperatives)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라고 지시하거나 요청하는 명령문입니다. 동사원형으로 문장을 시작합니다.

  • 일반적인 긍정 명령문:
    • 예: Open the window. (창문 열어.)
    • 예: Be quiet! (조용히 해!) - Be동사도 원형 사용
    • 예: Study hard for your exam. (시험공부 열심히 해.)
    • 예: Listen carefully to what I say. (내가 하는 말 잘 들어.)
    • 예: Come here. (이리 와.)
    • 예: Have a nice day! (좋은 하루 보내세요!) - Have도 동사원형
  • Please를 사용한 공손한 명령문 (요청): 명령의 어조를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 문장 앞이나 뒤에 please를 붙입니다.
    • 예: Please close the door. / Close the door, please. (문 좀 닫아주세요.)
    • 예: Please wait a moment. / Wait a moment, please.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 예: Help me with this bag, please. (이 가방 드는 것 좀 도와주세요.)
  • and를 사용한 명령문 (~해라, 그러면 ...할 것이다): "명령문, and + 주어 + 동사"의 형태로, 앞의 명령을 따르면 뒤의 긍정적인 결과가 올 것이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 예: Study hard, and you will pass the exam. (열심히 공부해라, 그러면 시험에 합격할 것이다.)
    • 예: Hurry up, and you will catch the train. (서둘러라, 그러면 기차를 탈 수 있을 것이다.)
    • 예: Take this medicine, and you'll feel better soon. (이 약을 먹어라, 그러면 곧 나아질 것이다.)
  • 주어 You를 명시하는 강조 명령문: 일반적인 명령문에서는 주어 You를 생략하지만, 특정인을 지칭하거나 감정을 강조할 때, 또는 여러 사람 중 한 명에게 말할 때 You를 쓰기도 합니다.
    • 예: You be quiet! (너 조용히 해!) - 특정인을 지칭하며 강조
    • 예: You go first, I'll follow. (네가 먼저 가, 내가 따라갈게.)
    • 예: Don't you tell me what to do! (네가 나한테 이래라 저래라 하지 마!) - 부정 명령 강조
반응형

나. 부정 명령문 (Negative Imperatives)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지 말라고 금지하는 명령문입니다. 문장 맨 앞에 Don't (Do not) + 동사원형의 형태로 시작합니다. Never + 동사원형은 더 강한 금지를 나타냅니다.

  • 일반적인 부정 명령문:
    • 예: Don't open the window. (창문 열지 마.)
    • 예: Don't be late for school. (학교에 늦지 마.) - Be동사 앞에도 Don't
    • 예: Don't worry about it. (그것에 대해 걱정하지 마.)
    • 예: Don't touch the painting. (그 그림 만지지 마.)
    • 예: Don't make a noise. (떠들지 마.)
  • Please를 사용한 공손한 부정 명령문:
    • 예: Please don't smoke here. / Don't smoke here, please. (여기서 담배 피우지 말아주세요.)
    • 예: Please don't be so loud. (제발 너무 시끄럽게 하지 말아주세요.)
  • Never를 사용한 강한 부정 명령문 (결코 ~하지 마라):
    • 예: Never give up your dreams. (결코 너의 꿈을 포기하지 마라.)
    • 예: Never tell a lie. (결코 거짓말하지 마라.)
    • 예: Never speak to me like that again! (다시는 나한테 그런 식으로 말하지 마!)
  • or를 사용한 명령문 (~해라, 그렇지 않으면 ...할 것이다): "명령문, or + 주어 + 동사"의 형태로, 앞의 명령을 따르지 않으면 뒤의 부정적인 결과가 올 것이라는 경고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 예: Study hard, or you will fail the exam. (열심히 공부해라, 그렇지 않으면 시험에 떨어질 것이다.)
    • 예: Hurry up, or you will miss the train. (서둘러라, 그렇지 않으면 기차를 놓칠 것이다.)
    • 긍정 명령문 뒤에 or가 오는 경우입니다. 부정 명령문 뒤에는 보통 쓰이지 않습니다.

다. 제안/권유 명령문 (Let's ~)

상대방에게 함께 어떤 행동을 하자고 제안하거나 권유하는 표현입니다. Let's (Let us) + 동사원형의 형태로 사용됩니다.

  • 예: Let's go to the movies tonight. (오늘 밤 영화 보러 가자.)
  • 예: Let's study together for the test. (시험공부 같이 하자.)
  • 예: Let's take a break now. (이제 좀 쉬자.)
  • 예: Let's have some pizza. (피자 좀 먹자.)
  • Let's의 부정형:
    • Let's not + 동사원형: (~하지 말자)
      • 예: Let's not argue about it anymore. (그것에 대해 더 이상 논쟁하지 말자.)
      • 예: Let's not waste our time. (우리 시간 낭비하지 말자.)
    • Don't let's + 동사원형: (구어체, Let's not보다 덜 일반적)
      • 예: Don't let's be hasty. (서두르지 말자.)
  • Let me/him/her/them + 동사원형: '나/그/그녀/그들이 ~하게 해줘' (허락 요청 또는 제3자에 대한 제안)
    • 예: Let me introduce myself. (제 소개를 하겠습니다.)
    • 예: Let him try it himself. (그가 직접 해보도록 놔둬.)

3. 명령문의 부가 의문문

명령문 뒤에 붙어서 동의를 구하거나, 어조를 부드럽게 하거나, 확인을 요청할 때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will you? 를 가장 많이 사용하며, 때로는 won't you?, can you?, could you?, would you? 등도 상황에 따라 쓰일 수 있습니다.

  • 긍정 명령문 + will you? / won't you? (부드러운 권유)
    • 예: Open the window, will you? (창문 좀 열어줄래?)
    • 예: Be quiet, will you? (조용히 좀 해줄래?)
    • 예: Have some more cake, won't you? (케이크 좀 더 드세요, 네?)
  • 부정 명령문 + will you?
    • 예: Don't be late, will you? (늦지 마, 알겠지?)
    • 예: Don't tell anyone, will you? (아무에게도 말하지 마, 응?)
  • Let's 제안문 + shall we?
    • 예: Let's start now, shall we? (이제 시작할까요?)

II. 감탄문 (Exclamatory Sentences)

1. 감탄문이란 무엇인가? 강한 감정을 표현하는 문장!

감탄문(Exclamatory Sentence)은 기쁨, 슬픔, 놀람, 분노, 감탄 등과 같은 강한 감정이나 느낌을 표현하는 문장 형태입니다. 평서문이 객관적인 사실이나 생각을 전달하는 데 비해, 감탄문은 주관적인 감정을 생생하게 드러내는 데 중점을 둡니다. 감탄문의 끝에는 주로 느낌표(!)를 사용하여 감탄의 의미를 강조합니다.

감탄문 주요 형태

감탄문은 주로 What이나 How로 시작하는 특정 구조를 가집니다.

2. 감탄문의 형태 및 종류

가. What으로 시작하는 감탄문

What 감탄문은 주로 명사(구) 의 성질이나 상태에 대해 감탄할 때 사용됩니다. 어순은 다음과 같습니다.

  • What + a/an + 형용사 + 단수 명사 (+ 주어 + 동사)!
    • 예: What a beautiful flower (it is)! (정말 아름다운 꽃이구나!)
    • 예: What an interesting story (he told us)! (정말 재미있는 이야기구나!)
    • 예: What a surprise (this is)! (정말 놀랍구나!)
    • 주어 + 동사는 문맥상 명확하면 생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What + 형용사 + 복수 명사/셀 수 없는 명사 (+ 주어 + 동사)! (관사 a/an 없음)
    • 예: What lovely children (they are)! (정말 사랑스러운 아이들이구나!)
    • 예: What beautiful scenery (this is)! (정말 아름다운 경치구나!)
    • 예: What nice weather (we are having)! (정말 좋은 날씨구나!)
    • 예: What useful information (he gave me)! (정말 유용한 정보구나!)
  • What + 명사 (+ 주어 + 동사)! (형용사 없이 명사 자체에 감탄)
    • 예: What a fool (I was)! (내가 정말 바보였구나!)
    • 예: What luck! (정말 행운이구나!)

나. How로 시작하는 감탄문

How 감탄문은 주로 형용사나 부사의 정도에 대해 감탄할 때 사용됩니다. 어순은 다음과 같습니다.

  • How + 형용사/부사 (+ 주어 + 동사)!
    • 예: How beautiful (this flower is)! (이 꽃이 정말 아름답구나!) - 형용사 감탄
    • 예: How kind (you are)! (당신은 정말 친절하군요!) - 형용사 감탄
    • 예: How fast (he runs)! (그는 정말 빨리 달리는구나!) - 부사 감탄
    • 예: How well (she sings)! (그녀는 노래를 정말 잘하는구나!) - 부사 감탄
    • 예: How interesting (this book is)! (이 책 정말 재미있구나!) - 형용사 감탄
    • 마찬가지로 주어 + 동사는 생략 가능합니다.
  • How + 주어 + 동사! (동작 자체에 대한 감탄, 드물게 사용)
    • 예: How he has changed! (그가 정말 많이 변했구나!)

다. 기타 형태의 감탄 표현

What이나 How로 시작하는 정형화된 감탄문 외에도, 평서문이나 의문문, 또는 단어나 구 자체가 강한 감정을 담아 느낌표와 함께 사용되면 감탄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 평서문 + !
    • 예: I can't believe it! (믿을 수가 없어!)
    • 예: You did a great job! (정말 잘했어!)
  • 단어/구 + !
    • 예: Wonderful! (훌륭해!)
    • 예: Oh my God! (오, 맙소사!)
    • 예: Fire! (불이야!)

3. 감탄문 작성 시 유의사항

  • WhatHow의 구분:
    • What은 주로 명사의 성질에 감탄 (What + (a/an) + (형용사) + 명사)
    • How는 주로 형용사나 부사의 정도에 감탄 (How + 형용사/부사)
  • 관사 사용: What 감탄문에서 수식 받는 명사가 단수이고 셀 수 있는 명사일 경우 a/an을 써야 합니다. 복수 명사나 셀 수 없는 명사 앞에는 관사를 쓰지 않습니다.
  • 주어+동사 생략: 문맥상 의미가 명확할 경우, 감탄문 뒤의 주어 + 동사 부분은 자주 생략됩니다.
  • 느낌표 사용: 감탄의 의미를 살리기 위해 문장 끝에 느낌표(!)를 사용합니다.

감탄문 팁

명령문과 감탄문은 평서문이나 의문문과는 또 다른 목적과 기능을 가지고 문장 표현을 풍부하게 만들어줍니다. 명령문은 직접적인 소통을 통해 행동을 유도하고, 감탄문은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여 공감대를 형성하거나 분위기를 고조시킵니다.

이러한 문장들의 형태와 쓰임새를 정확히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적절히 활용하는 것은, 영어를 더욱 자연스럽고 생동감 있게 구사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입니다. 다양한 예문을 통해 각 문장 형태의 뉘앙스를 익히고, 실제 대화나 글쓰기에서 적극적으로 사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