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논문이란?
연구 논문은 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것을 찾아내는 것 또는 기존의 알려진 지식에 새로운 지식을 더하여 글로 기술한 것이다.
2. 논문의 종류
목적에 따라 학위 논문, 보고 논문, 발표 논문 세 가지로 나뉜다. 학위 논문은 대상자는 논문심사위원, 보조자는 지도교수이고, 보고 논문은 대상자는 위원회, 고객이고 보조자는 공동연구자이다. 발표 논문의 경우 대상자는 심사자/관심자, 보조자는 공동연구자이다.
3 . 좋은 논문의 조건
논리성, 객관성, 완전/간결성, 독창성, 신빙성, 설득성을 갖춘 논문
1) 논리성
: 연구한 결과를 논리적으로 전개하면서 주장. 각 부분(초록, 서론 등)에서 내용 전개가 논리적일 것.
2) 객관성
: 연구 방법, 결과, 해석, 주장, 결론 등의 기술이 제 3자적 입장에서 이루어져야 함. + 학파 영향 배제
3) 독창성
: 저자의 의견, 견해가 제시되어야 함. 연구 방법 또는 결과가 새로운 사실에 포함
4) 완전/간결성
: 결과물(그림, 표, 사진)의 제시, 개념 도입, 이론 전개 등에 명확한 내용이 간결하게 기술되며 중복 기술이 없어야 함.
5) 신빙성
: 결과를 명확히 표현 – 결과의 재현성을 보일 것
(연구 방법, 데이터 수집 등에 신빙성이 있어야 함.)
6) 설득력
: 독자를 의식한 충분한 내용 전달이 이루어질 것
(논문의 구성에서 서론 및 고찰 등에서)
좋은 논문을 고르려면?
1) 저자의 수가 많은 논문
2) 논문의 제목이 긴 논문
3) 제목에 세부적인 내용 표현
4) 연구 주제가 최근 과학기술계의 관심사와 관련된 것
4. 논문의 구성
연구 논문의 스타일은 실험논문, 계산(시뮬레이션) 논문, 이론 및 실험 논문으로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1) 실험 논문
Introduction > Experimental proccedure > Result > Discussion > Conclusion 으로 구성
2) 계산(시뮬레이션) 논문
Introduction > Background > Modelling > Experimental assessment
Introduction > Background > Simulation/Algorithm > Result / discussion
Introduction > Modelling > Simulation(method, analysis) > Discussion
세 가지 중 하나로 구성
3) 이론 및 실험 논문
Introduction > Summary of the theory > model > Materials and Methods > Results > Discussion > Conclusion
4) 일반적인 과학기술 논문
초록 > 서론 > 연구 배경/설계 > 결과 > 토의 > 결론 > 참고문헌
5. 학술지 평가 방법
1) 국내 학술지 평가
한국학술진흥재단은 학술 연구비 지원 및 연구 결과 평가, 학회 및 학술 단체 지원, 학술 연구 업적의 평가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국내 발행 학술지를 평가함.
평가 내용
학술지 체계 평가
- 평가 주관: 학술지 발행 기관
- 평가 내용: 자체 평가서 및 증빙 자료를 토대로 각 평가 항목에 의거 평가
학술지 내용 평가
- 평가 주관: 해당 분야 분과 위원회
- 평가 내용: 학술지 계속 평가 신청서 및 증빙 자료를 토대로 2개 부분(논문, 편집 부분)의 각 평가 항목에 의거 평가
2) 국제 학술지 평가
ISI(Institute of Sccientific Information: 과학정보연구소), SCI(Science Citation Index: 과학논문인용색인) , SCIE(Sicence Citation Index Expanded)
ISI가 SCI를 정기적으로 발간하는데, 인용도가 낮으면 SCIE에 등록된다. 인용도란? 공신력 있는 국제적인 학술 잡지 평가 기관인 ISI에서 간행하는 학술 잡지 인용 보고서에서 제시한 인용 빈도 지수를 말한다. 그 외에도 즉시성 지수, 피인용 반감기 등이 있는데 즉시성 지수는 그 저널이 출판된 해에 얼마나 빨리, 얼마나 자주 인용이 되었는지를 알려주는 지표고, 피인용 반감기는 전체 인용 횟수의 절반이 인용되는데까지 걸리는 시간으로 인용 문헌의 나이를 알려주는 수단이 된다.
SCI에 등재된 인용도가 높은 논문이 좋은 논문이라고 볼 수 있다.